푸우랑 불곰의 상상 다락방
제상이와 현영이가 만들어가는 블로그♡
2011년 9월 30일 금요일
Electronic muscle stimulation의 활용
1. 물리치료: 손상된 근육을 자극, 근육기능을 강화함
2. 의료: 혈액순환, 고통완화
3. 광고 등에서 주장된 효과: 근육뭉침완화, 근육에 긴장주어 운동효과 증대
4. 부작용: 화상, 타박상, 피부염증, 통증, 감전 등. 이러한 이유로 FDA가 규제하고 있음.
2011년 2월 27일 일요일
현영의 자개소개
http://www.slideshare.net/phoooo/expecting-to-meet-you
2011년 1월 5일 수요일
[WEB] WEB 서비스 3분짜리 개념잡기 - Applet, Servlet, JSP
WEB 서비스 3분짜리 개념잡기
JAVA 웹 어플리케이션엔 3 종류가 있다.
Applet: 위젯같이 독립적으로 Client에서 실행되는 자바 어플리케이션, Applet은 보통 웹페이지에 껴서 넣거나 실행파일처럼 따로 돌릴수도 있다. 보통 그래픽, GUI등을 요구하는 앱에 사용된다.
Servlet: Applet이 클라이언트에서 수행되는 자바 앱이면 서블릿은 서버에서 실행되는 앱이다. 보통 서버에서 요구하는 기능 = DB 관련 작업, 기타 작업 등을 수행한다.
JSP: Java로 구성된 웹 페이지로서 서버에서 수행되고 그 결과는 HTML로 클라이언트에 다운되어 보이게 된다. 보통 MVC 모델의 View 등으로 사용되며, 서블릿과 HTTP로 통신한다.
PHP는 보통 JSP와 비교되는데 JSP는 HOTSPOT기술등으로 네이티브로 컴파일되어 수행되므로 PHP보다 빠르지만 PHP는 스크립트이기 때문에 컴파일이 필요하지 않는 편의성이 있다.
화면에 뭘 보여주는 일을 하는 View에 해당하는 JSP, 중간에서 로직을 처리하는 Controller에 해당하는 Servlet 그리고 데이터를 공급하는 Model인 DB 로 보통의 WEB 서비스는 구성된다. 이를 Model2 라고 부르기도 하고 MVC 패턴 방식이라고도 부르기도 하고 3-Tier라고 부르기도 한다.... JSP와 Servlet은 일반적으로 HTTP Request 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하는 프로토콜은 여러가지를 사용할수 있는데 보통 XML 로 보내고 JSON등으로 받거나 JSON으로 모두 처리한다. JSON은 객체를 스트링 스트림으로 보내기 위한 전송 규약인데 매우 쉽고 간편하고 XML을 사용하는 SOAP등에 비해 가벼워서 종종 사용된다. (구글 맵, 페이스북 등등의 서비스가 JSON을 지원한다.)
Servlet은 JSP에서 들어온 요청을 적절히 서버에서 처리하여 결과를 반환하는데 이 과정은 성능을 위해 모두 멀티쓰레드로 병렬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서버로 요청이 들어오면 쓰레드가 만들어져 이 안에서 서블릿이 초기화 되고 실행된다. 서블릿 객체는 소스가 재 컴파일 되지 않는한 성능을 위해서 서버에 캐싱되어 있다. 따라서블릿을 한번 실행해두면 초기화를 다시 하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서버가 꺼지거나 소스가 바뀌면 파괴되었다가 처음부터 다시 수행된다. http://blog.naver.com/dhc9902?Redirect=Log&logNo=40118027312
서블릿의 실제 코드와 생명주기에 대한 이해는 아래 글을 참고한다. http://yellowvirus.tistory.com/53
Servlet과 DB의 통신은 일반 SQL을 사용하는데 어느 DB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성능이나 다른 목적을 위해 그 DB를 위한 전용 SQL문을 사용할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ORACLE등의 엔터프라이즈 DBMS는 SQL표준과 다른 전용 명령어 셋이 있다.
서블릿은 서버 내에 컴파일된 자바 파일로 여러개 존재한다. (이들을 보관하는 Container 엔진을 Catalina 라고 부른다.) 서블릿의 호출은 POST/GET 요청시 들어가는 URL의 패턴에 따라 호출되는데 이의 지정은 서블릿과 같이 있는 web.xml 파일에 정의할수 있다. 이 설정파일의 내용에 따라 서블릿을 실행하는 웹서버인 WAS = 톰캣, 아파치 등은 요청이 들어올때 적절한 서블릿을 호출하여 작업을 처리한다.
서블릿은 여러 Server OS에서 수행 가능하지만, 보통 기본적인 서블릿 서버는 리눅스 + 아파치 + 톰캣 의 조합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서블릿은 J2EE로 만드는데 일반 이클립스가 아닌 J2EE용 이클립스를 깔아서 IDE 환경에서 개발 가능하다.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2010년 12월 14일 화요일
2010년 12월 12일 일요일
안드로이드에서 쉽게 AVD 경로롤 바꾸는 방법
컴퓨터의 환경변수에 ANDROID_SDK_HOME를 추가하고 원하는 위치로 다시 지정한 후
AVD를 다시 만들면 새로 설정된 위치로 AVD가 만들어지네요.
2010년 12월 10일 금요일
.NET 4.0 XamlParseException
.NET 4.0에서 SetWindowsHookEx를 쓸 때 .NET 2.0 방식과 혼동되지 않도록 주의하셔야 합니다. 2.0 방식으로 하시면 제목과 같이 XamlParseException이 일어나게 됩니다.
.NET 2.0 방식
hMouseHook = SetWindowsHookEx(
WH_MOUSE_LL,
MouseHookProcedure,
Marshal.GetHINSTANCE(
Assembly.GetExecutingAssembly().GetModules()[0]),
0);
.NET 4.0 방식
hMouseHook = SetWindowsHookEx(
WH_MOUSE_LL,
MouseHookProcedure,
IntPtr.Zero,
0);참조 링크http://www.go4answers.com/Example/setwindowshookex-works-net-2-not-net-4-115728.aspx